Android

[Kotlin] 코틀린에서의 변수 사용법

팡세영 2022. 7. 7. 21:54


변수에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 형태가 있다.

  • val (value) - 변하지 않는 상수이며 val 키워드로 선언
  • var (variable) - 가변 변수이며 var 키워드로 선언

변수 선언과 동시에 값 넣기

var name = "seyoung"

값으로 초기화하지 않고 선언만 하고 사용하기

 var name : String
 name = "seyoung"


선언만 할 경우에는 반드시 변수 명 옆에 콜론(:) 구분자를 붙여서 자료형을 지정 해주어야 합니다!!


코틀린에서 제공되는 기본 데이터 타입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데이터 타입 설명
숫자형 Double 64 비트 실수
Float 32비트 실수
Long 64비트 실수
Int 32비트 실수
Short 16비트 실수
Byte 8비트 정수
문자형 Char 1개의 문자
String 여러 개의 문자
불린형 (boolean) Boolean true, false 두 가지 값

Int

var number: Int
number = 20

소수점이 없는 정수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며 언더바(_)를 이용해 자릿수 구분을 해줄 수 있습니다.

var number: Int
number = 1_321_523_112

Long

var longNumber: Long
longNumber = 2134576798L

Int 자료형보다 큰 점위의 정수를 담을 수 있으며 Int와 구분하기 위해 숫자의 끝에 L을 붙혀 줍니다.


Double

var doubleValue: Double
doubleValue = 3.1415

소수점이 있는 값을 저장할 때 사용 합니다.


Float

var floatValue: Float
floatValue = 3.1415F


Byte

정수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며 입력할 수 있는 값의 크기가 Int보다 작습니다.

var byteValue: Byte
byteValue = 128


String
여러 개의 문자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var name: String
name = "seyoung"
var name = "seyoung"
Log.d("Test World", "My name is $name 입니다.")

Boolean
true, false 논리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var isTrue = true